* 본 공략은 해당 블로그 글 직접 링크 이외에
수정, 복사를 불허합니다.
돌소화기빌드
속칭 교복빌드 4대장중 하나라 생각되며 (이클법사 / 돌소화기 / 냥꾼빌드 / 라면빌드)
개인적으로 제일 먼저 맞추는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무기는 1티어 돌격소총(카빈/허니뱃져/경찰용M4/파마스/AK계열/MK16계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주고
보조무기로는 본인 입맛에 맞는 소총을 한자루 선택하여주면된다.
(여우의 기도로 소총 대미지 효과를 받을수있고 돌격소총 탄약이 없을시/ 중장거리 교전에 사용가능하기에 사용)
카빈/허니뱃져/경찰용M4/파마스 의 경우는 RPM이 빠르기에 빠른손 특수효과를 붙이는것이 적당하고
AK계열/MK16계열 돌격소총은 RPM이 느려 중압감의 효과를 보기 좋아 중압감 특수효과를 주로 사용한다
(동기화 탤런트도 물론 딜적으로 봤을때는 좋지만, 스킬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대미지 면에서 볼때는 절대 안좋은 특수효과는 아니다)
소총 계열에서는 부메랑 OR 소총수 특수효과를 주로 사용하는데
아직 총쏘는것이 적응되지 않았다면 부담없이 부메랑을 사용하여주거나 네임드 아이템인 덧거리를 사용해주고
어느정도 적응이 되어 나는 대부분의 탄을 머리에 쏠수있다 생각될때 소총수 특수효과를 사용하여주면 된다.
소총은 주로 대미지, 사거리등에서 무난한 클래식 M1A나 근거리에서 난사를 위한 M1A CQB를 사용하기도 하고
소총수 특수효과를 본격적으로 사용하자면 도심MDR 이나 ACR SS 같은 탄창이 많고 발속이 빠른 총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기본적인 셋팅에서 마스크는 솜브라, 권총집은 프로비, 장갑에 펜리르를 사용하였는데
사실 이는 브랜드만 맞춰준다면 마스크에 펜리르 / 권총집에 솜브라 등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작성자는 가급적이면 마스크/ 권총집 / 배낭 3부위에는 펜리르 브랜드를 챙기지 않는것을 권장한다"
(= 펜리르 1부위는 가급적이면 조끼나 장갑에 사용)
그 이유는 돌소화기셋팅과 연계지어 사용할수있는 특급아이템들때문인데
각각 코요테의 마스크 / 닷지시티 / 메멘토 등이 돌소 화기셋팅과 연계하여 한부위씩만 바꾸어 착용했을때 대미지를 어느정도 포기하지 않으면서 특색있는 플레이를 가져갈수있기 때문
이와 관련된 빌드들은 1-1로 추가할예정이다.
기본적으로 조준경은 c79(3.4x) 조준경을 채택하며 (이는 우각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나머지 총구, 손잡이 부분에서 각각 치명타 확률과 치명타 대미지를 채택하여주면 된다.
탄창은 튼튼한 대용량 탄창을 채택해 탄약을 한번에 50발까지 장전할수있게 해주면된다
(*만약 해당 부품들이 없다면 설계도를 얻지 못하였거나 얻은 설계도를 가지고 부품을 제작하지 않은것이다.
설계도 얻는방법은 타 게시글 참조 - 추가예정)
이경우는 탄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에 치명타 확률을 챙겨주고
조준경은 c79 조준경을 착용해주면 된다.
* 왜 c79 조준경을 착용해야하는가? 소형반사 조준기도 치명타 확률 5%를 챙겨주는데?
-> 이는 치명타 확률 옵션을 챙기면서 동시에 우각을 사용할수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의 동영상을 봐보자.
분명 총구는 앞의 엄폐물에 가려서 쏠수없는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대미지를 입혔으며
공격을 당한 적은 플레이어를 엄폐물 뒤에있는것으로 인식하여 공격을 하지 않았으며
설사 공격을 하더라도 체력은 달지 않았을것이다.
여우의 기도에는 한가지 속성만을 붙일수있는데 여기에는 치명타 대미지 옵션을 붙여준다.
조끼의 특수효과는 통상 절멸을 사용하며 (유리대포를 사용할경우 1000렙이하일경우 정말 물몸이되므로 비추)
배낭의 특수효과는 경계를 사용한다.
단 다크존에서 파밍을 하여 은총 아이템을 먹거나 주간 다크존 상점에서 은총을 구매하였다면 은총을 착용하면된다.
모듈은 배낭, 마스크, 조끼에 각각 1개씩 총 3개를 장착할수있는데
모두 치명타 대미지 모듈을 착용하여주면된다.
이렇게 셋팅을 완료하였을때 최종적인 스펙은
치명타 확률 60% / 치명타 대미지 188% / 헤드샷 대미지 90% 가 된다
(단 999레벨 이상이 되어 모든 시계에서 얻을수있는 추가 대미지 옵션을 챙겼을때 기준이다.)
성전사 방패와 소생하이브를 추천한다.
성전사 방패는 당연하게 우각을 사용하기 위함이고
소생하이브의 경우는 죽었을때를 대비한 보험이다.
"개인적"으로 기관포병을 추천한다.
적 처치시 10% 방어도 회복옵션과 일정시간마다 탄약을 보충하여주는것이 정말 좋은 옵션이라 생각된다.
단 어느 전문화를 채택하더라도 돌격소총의 대미지와 소총 대미지 옵션은 모두 챙겨줘야 한다.
-----------------------------------------------------------------------------------------------------------------------------------
전문화의 경우는 호불호가 확실히 갈릴수 있다.
핵심만 간단하게 말해서 다른 전문화를 쓰지 않는이유 / 혹은 다른전문화를 채택할만한 이유가 있다면.
화염방사병 -> 실질적으로 화염방사병을 쓰는 이유는 강습방패 때문인데 돌소화기빌드로 강습방패를 들고 들어가면서 맞딜을한다?
바로 바닥쓸기의 장인이 될수있다.
실질적으로 근,중거리 교전에서 강습방패가 쓰일일은 거의 없고 이에따라 강습방패효율이 떨어지는 화염방사병을 채택하기는 꺼려진다.
다만 숙련되어서 강습방패효과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딜을 할수있는 각을 잡는다면 채택의 여지가 있다.
그만큼 강습방패의 대미지 증가는 매력적이기에
기술전문가 -> 전력 +1 효과로 방패 티어가 올라가 방패가 좀더 단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어느정도 채택해볼만 하다고 생각되며 로봇 대상 데미지 증가옵션도 있어서 어느정도 고려해볼만하다.
폭파전문가 -> 글쎄? 폭파무시 / 화상저항 / 아군 비엄뎀 5%증가? 어느것도 다른것에비해 더 좋다 라고 할만하지 않다.
좀 애매한 느낌.
생존전문가 -> 정방 10% / 엄폐상태 스킬가속증가 / 회복킷 아군 같이 효과 -> 사실 애매하다
정방 10% 를 효과를 보기에는 6화기를 투자하여 방어도가 미미해 효과가 미미하다.
명사수 -> 무기 안정성 15% 증가 / 엄폐시 추가 방어도 제공 사실 제일 무의미 하다고 본다.
본래 디비전 2는 1과 다르게 반동이 컨트롤가능한 수준이기에 의미 없다고 본다.
타 전문화와 다르게 소모되는 탄약 보충 / 적 처치시 발사속도 증가 / 3번째 재장전 마다 재장전 속도 감소 / 적 처치시 방어도 10% 회복 / 등은 충분하게 선택할만한 여지가 있다고 판단되었고
절멸/ 경계 효과와 더불어 시그니쳐 무기 사용시에도 네임드 몹에게 데미지를 가할때 제외하고는
생각이상의 딜량이 나오기에 기관포병을 추천한다.
--------------------------------------------------------------------------------------------------------------------------------
아직 시계레벨이 낮아 치명타 확률이 낮을때는 여우의 기도에 치명타 대미지가 아닌 치명타 확률을 붙인다던가.
한부위 옵션이 치명타 확률,치명타 대미지가 아니라 헤드샷 대미지,치명타 대미지 일경우에는 탄창을 제외한
총기의 부품을 3가지 전부 치명타 확률로 돌린다던가 등의 유연성을 가지고 템셋팅을 하여야 한다.
(PVE)/딜탱 2. 냥꾼빌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1.21 |
---|---|
(PVE)/딜러 1-1. 특급 아이템을 이용한 돌소화기 변칙 빌드 (0) | 2022.01.08 |
디비전2 빌드에 관하여 (0) | 2022.01.06 |
사냥꾼의 격노를 이용한 매우어려움 호송런 빌드 (0) | 2021.06.07 |
댓글 영역